리폼 및 수선방

[스크랩] 기본적인 봉재방법 ~~^^**

채수련 2010. 2. 20. 23:53

우리가 제품을 하다 보면 여러 종류의 원단 소재로 작업을 하게 되는데 항상 디자이너가 유념할 점은 원단 소재에 따라 봉제 방법과 제단 등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서로가 밀접한 상관 관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완벽한 상품이 나오도록 하기 위해선 아래 사항을 참고 하여야 합니다.

1. 얇고 가벼운 직물의 원단 소재일 경우
오갠저(ORGANZA), 노방, 시폰, 조젯(GEORGETTE)등 얇고 가벼운 소재의 원단은 퍼커링(PUCKERING)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재단에서부터 봉제 완성시 까지 항상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1)재봉기: 초고속인 재봉기는 원단 소재에 흠집을 낼수 있기 때문에 저고속
재봉기를 사용하는것이 좋다. 만약 이러지 못할 경우 재봉기의 속도를 낮추어
작업하여야 한다.

2)스티치 작업: 스티치 작업을 할 때에는 1cm당 5스티치 정도가 적당하며 실의
장력은 가능한 낮게하여 작업한다.

3)재봉 바늘: 재봉 바늘은 7, 8번수로 적당하며 바늘 끝은 약간 둥근세트 포인트가
적당하다.

2. 보통 면직물 내지는 면홍방 직물
대표적인 원단 소재로는 보일(VOILE), 스킵 텐트셔팅(skip dent shirting), 스팟지물 등으로 여성용 브라우스나 셔츠 등에 많이 사용하며 봉제성은 좋으나 봉제시 퍼커링이 심하게 일어날수 있다.

1)재봉기: 보통 일반 공장에서 사용하는 사절 본봉기가 적당하며 땀수 간격을
조밀하게 작업하여야 한다.(땀수 12땀 이상)
2)스티치: 스티치 작업은 1cm당 4~5 스티치가 정당하다.
3)재봉 바늘: 보통 사용하는 9~12 번수까지 작업이 가능 하다.

3. 일반 모직물 내지 모 혼방 직물
대표적인 원단 소재는 양모 크레이프(wool crepe), 헤링본 능직, 하운드 투스 체크등이며 양복, 투피스, 원피스에 주로 사용 된다. 다른 직물 보다 퍼커링이 적다.
1)재봉기: 일반적인 공업용 미싱
2)스티치: 1cm당 4스티치가 적당
3)재봉 바늘: 원단 두께가 두꺼워 14~16 번수가 적당하다.

4. 두꺼운 직물원단 소재
대표적인 원단 소재는 코트나 재킷용 모직물류로서 봉제성이 좋고 퍼커링이 작다.
1)재봉기: 일반적인 공업용 미싱
2)스티치: 원단 소재가 두꺼운 소재가 많아 1cm당 3스티치가 적당
3)재봉 바늘: 모직물은 14번수, 면직물은 16버수가 적당하다.

5. 스판 재질의 원단 소재
높은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소재로서 원단 소재에 따라 봉제 방법이나 재단이 다르므로 어떤 다른 소재 보다 다투기가 까다롭다.
1)재봉기: 원단 특성에 맞추어서 조절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2)스티치: 원단의 신축성 때문에 1츠당 6~7스티치 정도가 적당하다.
3)재봉 바늘: 크롬이나, 니켈 도금한 바늘을 사용하여 10~14번수가 적당하다.

출처 : 하늘채 의류수선, 맞춤 전문점
글쓴이 : 하늘채 원글보기
메모 :